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아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문 바로가기
사용자메뉴 영역
국가보훈처
국외 독립운동 사적지
주메뉴 영역
현충시설 소개
시설 현황
기관 소개
찾아오시는 길
현충시설 활용 우수사례
관리실태 신고 및 사적지 발굴
관련사이트
기념관
본문 영역
지역별
원하시는 지역을 클릭해 주세요.
모든 지역
945
경북
160
서울
82
부산
34
대구
24
인천
9
광주
15
대전
5
울산
14
경기
87
강원
50
충북
46
충남
80
전북
104
전남
114
세종
2
경남
110
제주
9
시/군/구 분류
가평군
(2)
강남구
(1)
강동구
(2)
강릉시
(3)
강북구
(4)
강서구
(5)
강진군
(3)
강화군
(4)
거제시
(1)
거창군
(9)
경산시
(1)
경주시
(1)
계룡시
(1)
계양구
(1)
고령군
(7)
고성군
(10)
고양시 덕양구
(1)
고양시 일산동구
(2)
고창군
(14)
고흥군
(4)
곡성군
(9)
공주시
(5)
과천시
(3)
광명시
(1)
광산구
(1)
광양시
(10)
광주시
(5)
광진구
(4)
괴산군
(6)
구례군
(8)
구리시
(1)
구미시
(7)
군산시
(7)
군위군
(1)
군포시
(1)
금산군
(4)
금정구
(4)
기장군
(6)
김제시
(14)
김천시
(3)
김포시
(4)
김해시
(7)
나주시
(7)
남구
(8)
남동구
(1)
남양주시
(5)
남원시
(6)
남해군
(3)
노원구
(2)
논산시
(1)
달서구
(5)
달성군
(1)
담양군
(8)
당진시
(6)
도봉구
(1)
동구
(9)
동두천시
(2)
동래구
(5)
동작구
(3)
마산시
(2)
마산시 합포구
(6)
마산시 회원구
(1)
마포구
(1)
목포시
(3)
무안군
(3)
무주군
(4)
문경시
(10)
밀양시
(6)
보령시
(4)
보성군
(13)
보은군
(1)
봉화군
(2)
부산진구
(3)
부안군
(1)
부여군
(7)
부평구
(1)
북구
(9)
사천시
(4)
산청군
(2)
삼척시
(3)
상주시
(7)
서구
(5)
서대문구
(5)
서산시
(1)
서천군
(7)
서초구
(4)
성남시 분당구
(2)
성북구
(2)
성주군
(14)
세종
(2)
수성구
(1)
수원시 장안구
(1)
수원시 팔달구
(5)
순창군
(1)
순천시
(5)
신안군
(2)
아산시
(3)
안동시
(22)
안산시 단원구
(1)
안산시 상록구
(1)
안성시
(2)
안양시 동안구
(2)
안양시 만안구
(1)
양구군
(1)
양산시
(3)
양양군
(3)
양주시
(2)
양평군
(7)
여수시
(5)
연천군
(2)
영광군
(4)
영덕군
(7)
영동군
(6)
영등포구
(1)
영암군
(4)
영양군
(9)
영월군
(3)
영주시
(6)
영천시
(17)
예산군
(8)
예천군
(10)
옥천군
(2)
완도군
(6)
완주군
(2)
용산구
(4)
용인시 수지구
(1)
용인시 처인구
(3)
울주군
(5)
울진군
(5)
원주시
(8)
유성구
(1)
은평구
(1)
음성군
(3)
의령군
(8)
의성군
(10)
의정부시
(2)
이천시
(5)
익산시
(12)
인제군
(1)
임실군
(9)
장성군
(4)
장수군
(6)
장흥군
(1)
전주시 덕진구
(2)
전주시 완산구
(5)
정읍시
(14)
제주시
(9)
제천시
(7)
종로구
(29)
중구
(42)
중랑구
(1)
증평군
(1)
진도군
(1)
진안군
(7)
진주시
(4)
진천군
(2)
진해시
(1)
창녕군
(3)
창원시
(3)
천안시
(9)
천안시 동남구
(1)
철원군
(1)
청도군
(1)
청송군
(9)
청양군
(8)
청주시 상당구
(7)
청주시 청원구
(4)
청주시 흥덕구
(1)
춘천시
(13)
충주시
(6)
칠곡군
(5)
태안군
(2)
통영시
(2)
파주시
(7)
평택시
(2)
포천시
(4)
포항시 남구
(1)
포항시 북구
(5)
하동군
(8)
함안군
(4)
함양군
(12)
함평군
(7)
합천군
(12)
해남군
(3)
해운대구
(1)
홍성군
(13)
홍천군
(7)
화성시
(10)
화순군
(4)
화천군
(1)
횡성군
(5)
현충시설 간편검색
시설별, 주제별, 지역별, 제목별 분류 선택
분류 선택
시설
전체
사당
장소
조형물
생가
기념관
동상
탑
비석
기타
분류 선택
주제
전체
한말구국운동
의병운동
3.1운동
애국계몽운동
학생운동
의열투쟁
사회운동
문화운동
민족주의운동
해외운동
기타
분류 선택
지역
전체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인천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세종
분류 선택
전체
제목
내용
통합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색
OPEN
현충시설 상세검색
시설전체
사당
장소
조형물
생가
기념관
동상
탑
비석
기타
주제전체
한말구국운동
의병운동
3·1운동
애국계몽운동
학생운동
의열투쟁
사회운동
문화운동
해외운동
민족주의운동
기타
지역전체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강원
전북
전남
세종
경북
경남
인천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제주
시설별, 주제별, 지역별 분류 선택
분류 선택
사건연도
1910년이전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이후
분류 선택
지방보훈관서
서울지방보훈청
서울남부보훈지청
서울북부보훈지청
경기동부보훈지청
경기남부보훈지청
인천보훈지청
경기북부보훈지청
강원서부보훈지청
강원동부보훈지청
부산지방보훈청
울산보훈지청
경남동부보훈지청
경남서부보훈지청
대전지방보훈청
충남동부보훈지청
충남서부보훈지청
충북남부보훈지청
충북북부보훈지청
대구지방보훈청
경북북부보훈지청
경북남부보훈지청
광주지방보훈청
전남동부보훈지청
전남서부보훈지청
전북동부보훈지청
전북서부보훈지청
제주보훈지청
분류 선택
제목
내용
통합검색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검색
CLOSE
검색결과
전체 개수 :
945개
검색 결과 :
945개
이미지파일목록
(고창군)독립운동 파리장서 기념비
시설
비석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전북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일제의 침략에 대한 부당성과 민족의 자주독립을 호소하고 1919년 3월 프랑스 파리국제평화회의 독립청원서(파리장서)에 서명한 한국유림대표 137인과 특히 고창지역 고석진, 고예진, 고순진, 고재만 선생의 공적을 선양하고자 건립함.
이미지파일목록
(의정부)3ㆍ1운동 기념비
시설
비석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경기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수많은 외세의 침략에도 굳건한 민족정신이 있어 민족정기를 이어올 수 있었다. 그러나 작금 주변국의 역사왜곡과 동북공정 등 실로 우려할만한 국제적 시대 상황을 비춰 볼 때 날로 퇴색되어가는 우리의 역사의식 및 애국애족 정신에 대한 ...
이미지파일목록
(제천)의병탑
시설
탑
사건연도
1895 년
지역
충북
주제
의병운동
추모
내용
제천의병은 구한말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조국이 위태로울 때 분연히 일어나 을미년(1895년) 의병 창의의 불을 지펴 국내외 독립운동의 모태가 되었다. 애국충절의 제천의병을 알리고 국난을 극복한 제천의병정신을 계승하고자 1987년 1월 ...
이미지파일목록
3.1독립만세운동인천지역발상지기념비
시설
비석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인천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1919는 3.1독립만세운동이 거국적으로 확산되어 가는 과정에서 그 당시 인천 유일한 공립보통학교(현 창영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항일 동맹휴학을 일으켜 만세운동을 전개함
이미지파일목록
3.1운동만세시위지(수원자혜병원)
시설
장소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경기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1919년 3월1일 발발한 수원지역의 3.1운동은 3월 한 달 내내 수원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이어졌으며 이 가운데 3월 29일 일어난 만세운동은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 병원으로 향하던 기생 30명의 주도로 일어났다. 15~23세인 이들...
이미지파일목록
3.1운동만세시위지(옛장안면사무소)
시설
장소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경기
주제
기타
추모
내용
수원군 장안면의 3·1운동 만세시위는 1919년 4월 3일 일어났다. 차희식·차병혁 등은 장안면 석포리 구장 차병한을 비롯하여 장제덕·장소진·이영쇠 등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장날에 장터에 모인 군중들에게 선언서와 태극기...
이미지파일목록
3·1공원
시설
장소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충북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일제강점기인 1919년 3월 1일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서울에서 독립선언을 하여, 3·1독립운동이 전국 각지로 확산되었다.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충북 출신은 손병희(1861-1922), 신홍식(1872-1939), 권동진(18...
이미지파일목록
3·1독립 기념탑
시설
탑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경기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이 기념탑은 원래 광복 후 중포산에 세워져 있었다. 한국인들에게 돌을 맞아 죽은 수원경찰서 사범계주임 노구치의 순국비를 허문 자리에 세운 것이다. 이 기념탑을 1969년 10월 15일 3·1동지회가 팔달산 중턱으로 이전하였다. 수원...
이미지파일목록
3·1독립만세기념비
시설
비석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인천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3·1독립운동이 한창 전국으로 확산되어 가던 1919년 3월 하순 용유면 남북리에 살던 조명원·조종서·최봉학·문무현 등이 혈성단(血誠團)의 명의로 부근 남북리·거잠리·을왕리·덕교리 등 주민에게 격문을 배포하여 3월 28일 관청리 광장...
이미지파일목록
3·1독립만세운동 기념탑
시설
탑
사건연도
1919 년
지역
충남
주제
3.1운동
추모
내용
천안군 입장면 양대리 시장에서는 1919년 3월 20일 광명학교 민옥금·한이순·황금순 등과 직산금광 광부 안시봉의 주도로 군중 600∼700명이 1차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3월 28일에는 직산 금광의 광부 박창신이 동료 광부 ...
1
2
3
4
5
6
7
8
9
10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