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가보훈부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검색 결과총 2313건

Excel전체 개수 : 2313

  • 故 정옥성 경감 흉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기타
    지역 : 인천광역시 강화군
    관할지청 : 인천보훈지청
    시설내용 :  13.3.1. 23:10경 강화서 내가파출소 당직근무 중 자살기도자 관련 112신고를 접하고 119휴대폰 위치추적 결과 내가면 외포리 선착장 인근에 있는 것으로 확인 주변 수색, 자살기도자를 발견하고 설득하던중 자살기도자가 순간적으로 바닷물로 뛰어드는 것을 뒤쫒아 구조하는 과정에서 바닷물에 휩쓸려 순직
  • 故 김범수 대위 추모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2004년
    주제 : 기타
    지역 : 전라북도 임실군
    관할지청 : 전북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故 김범수 대위의 숭고한 살신성인 정신을 추모 2002년 학군장교 40기로 임관한 김범수대위는 35사단 신병교육대대 소대장으로 임무수행 중 2004년 2월 18일 사단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투척훈련 과정에서 훈련병이 당황해 수류탄을 던지지 못하자 자신의 몸으로 수류탄을 감싸 안아 훈련 중이던 269명의 동료들을 구하고 순직했다
  • 故최규식경무관동상(경찰학교)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1968년
    주제 : 기타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관할지청 : 충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북한 무장 공비 김신조 등 31명의 청와대 습격 당시 종로경찰서장으로 기습공격 저지중 총탄 막고 순직
  • 故 홍시욱 하사 동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관할지청 : 경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948년 6월 1일 해군의 신병 10기로 입대하여 근무하던 중 6·25전쟁이 발발하자 해군본부의 정보국 특수공작대의 2조(하사)로서 특수공작대원들과 함께 경인지방의 북한군 병력 배치 상황과 규모, 병력 배치에 따른 보급 관계, 지뢰 매설상황, 상륙지점의 지형, 암벽의 높이 등을 수집하는 특수공작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1950년 8월 22일 영흥도에 상륙 잠입하였다. 당시 영흥도에 있던 해군 의용대와 해군 정보국 소속의 부대원은 중대장 임병래 중위의 지휘 아래 북한군 1개 대대와 치열한 공방전을 전개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적에게 포위되어 위기에 처하였으며, 최후에는 임 중위를 비롯한 군인 군속 10여 명이 남게 되었고, 이들은 모두 전사하였다. 이 때 홍시욱 이등병조는 임 중위와 함께 적에게 체포되어 특수공작임무의 기밀을 누설치 않으려고 ‘대한민국만세’를 부른 뒤 자결하였다.
  • 故 중위 강현경 추모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71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보병 제30사단 제91전투단 소대장으로 1971년 8월 27일 문산지역에 침투한 무장공비 4명 중 3명을 사살하고 임진강 하구에 위치한 거북고지 인근에서 잔비추격작전을 전개하다가 소대원 故병장 차성희와 함께 전투현장에서 전사하였다. 이렇듯 나라를 위하여 희생한 故육군중위 강현경을 추모하고자 이 비를 건립하였다.
  • 故 문광욱 일병 추모 흉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기타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관할지청 : 전북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고 문광욱 일병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널리 기억하고 시민들의 호국정신 함양 고취
  • 故 이기태 경감 흉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상북도 경주시
    관할지청 : 경북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2015년 10월 21일 11:30경 경찰 창설70주년을 맞은 경찰의 날에 울산시 북구 신천동 동해남부선 철로에 누워 있던 장애인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열차가 달려오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은채 마지막 순간까지 구조의 손을 놓지 않고 화물열차와 충돌하여 순직한 故 이기태 경감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음
  • 故정종수경사 흉상 및 순직비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1968년
    주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할지청 : 서울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정종수 경사는 1935년 7월 17일 경상북도 상주 출생으로 1960년 경찰에 투신하여 종로경찰서 재직 중이던 1968년 1.21 사태 시 최규식 경무관과 함께 무장공비와 교전 중 순국하였다. 이에 정부는 경사로 추서하고 화랑 무공훈장을 수여하였다. 순직비는 서울종로 서울종로경찰서 직원들의 성금으로 만들어졌으며 2017년 6월 5일 흉상이 추가로 제작되어 순직비와 함께 현충시설로 재지정되었다.
  • 故 범재오 상사 추모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2017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기도 양주시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2017년 한미연합전술 26전차대대 1중대 전차장으로 임무수행 중 전차가 교량 아래로 추락하여 전복되는 급박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위험상황을 무전으로 경고하는 등 피해확산을 방지하고 순직한 고인을 기리기 위함
  • 故 중사 김대훈 추모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2008년
    주제 : 기타
    지역 : 강원도 양구군
    관할지청 : 강원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2008년 사단에서 실시한 통신망 구성 훈련간 원활한 무선통신 임무를 위해 3개소를 이동하며 통신이 양호한 지점을 찾으려 했으나 산악이 발달하고 골짜기가 많은 지형의 특성상 무선통신이 잘 잡히지 않자 원활한 소통을 위해 위험을 무릅쓰고 해발 900미터가 넘는 고지로 올라가 임무를 완수함. 이후 복귀를 위해 산을 내려오던 중 급경사에서 제동장치의 이상을 인지하고 3차례에 걸쳐 벽면 충돌로 속도를 줄이려고 하였으나 여의치 않자 동승한 4명의 병사들의 안전과 대형사고의 방지를 위해 자신의 방향으로 핸들을 돌려 본인은 순직하고 4명의 전우를 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