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선택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인천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세종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닫기
닫기
현충시설 소개
현충시설 소개
국내 현충시설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국외 참전시설
국외 참전시설 둘러보기
현충시설 함께하기
나라 사랑 여행 코스
현충시설 활용 우수사례
관리실태 신고
OPEN API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MAP
HOME
TOP
BOTTOM
시설 전체
공원
기념관
기타
동상
비석
사당
사적지
생가
장소
조형물
탑
주제 전체
3·1운동
6·25전쟁
6·25전쟁 및 월남전쟁
기타
문화운동
민족주의운동
사회운동
애국계몽운동
월남전쟁
월남참전
의병운동
의열투쟁
학생운동
한말구국운동
해외운동
지역 전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자체 전체
VR 영상
유
무
안내판
유
무
제목
내용
검색 결과
총 2316건
Excel
전체 개수 : 2316
장윤덕의사 순국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872년
주제 : 의병운동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관할지청 : 대구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한말에 의병장으로 활약, 1907년 이토히루부미 암살계획에도 참여, 의병을 모아 이강년 의진과 합류한 후 풍기, 봉화 일대에서 일본경찰과 교전하고 일보누 공무소를 습격, 상주에서 교전후 순국하였다.
장사상륙작전 전몰용사 위령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관할지청 : 경북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장사상륙작전 참전용사들의 호국정신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며 작전에 참여하여 꽃다운 청춘을 조국에 바친 참전용사 및 학도병들의 충혼을 기리며 구국충정을 가슴에 새기고 후세에 널리 기려지도록 건립
장곡3·1운동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충청남도 홍성군
관할지청 : 충남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홍성 장곡면 주민들의 3·1독립운동을 기리는 기념비. 3·1독립운동이 전국으로 파급되어가는 가운데 4월 4일 홍성 매봉산에서 횃불 만세시위가 있었다. 이어 장곡면에서는 4월 7일과 8일 사이에 장곡면사무소를 중심으로 세차례에 걸쳐 만세시위운동이 전개되었다. 7일에 김동하의 주도 아래 장곡면 주민들은 화계리 주민들과 함께 앞산에서 독립만세를 부르고 면사무소로 이동하여 계속 시위를 전개하였고 밤 8시에는 광성리와 가송리 주민 300여 명이 합세하여 면사무소 뒷산에 올라 독립만세를 부르고 이어 면사무소로 이동하여 면사무소를 파괴하였다. 8일에도 지역 인사들과 학생 약 60여 명이 밤 11시 도산리에 모여 면사무소를 공격하고 독립만세를 불렀다. 이 시위로 20여명이 체포되어 재판에 회부되어 태형 90도에서 2년 6월의 옥고를 치루었고 10여명이 홍성경찰서로 연행되어 60도에서 90도의 태형을 당하였다. 1994년 8월 13일 장곡3·1운동기념사업회에서는 장곡 주민들의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이 비를 세웠다.
장병 추도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강원도 인제군
관할지청 : 강원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6·25전쟁이 교착전 단계로 접어든 직후 국군 수도사단과 제11사단이 향로봉 북쪽의 주요 고지군 확보를 위해 924·884고지의 북한군을 격퇴하고 남강 선으로 진출한 공격전투. 향로봉전투는 1951년 8월 14일부터 동부전선의 미 제10군단과 국군 제1군단이 함께 진행한 ‘포복작전(Operation Creeper)’ 중의 한 전투였다. 포복작전은 방어선 개선을 목적으로 한 작전으로, 해안분지 동측의 1031∼924∼884고지로 이어지는 ‘낚시바늘 형상의 능선(J Ridge)’을 탈취하여 해안분지 공격의 발판을 마련한다는 것이었다. 1951년 8월 14일 국군 제1군단은 미 제8군사령관으로부터 미 제10군단과 함께 포복작전을 전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국군 제1군단의 임무는 ‘낚시바늘 능선’의 줄기와 머리에 해당하는 924고지(향로봉 서북쪽 7㎞)와 884고지(924고지 북쪽 3㎞)를 탈취하는 것이었다. 이때 좌측에서는 미 제10군단 예하의 국군 제8사단이 이 능선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1031고지를 함께 공격하도록 계획되어 있었다 국군 제1군단은 8월 18일 924고지를 목표로 수도사단을, 884고지를 목표로 제11사단을 각각 공격에 투입하였다. 수도사단과 제11사단은 155밀리 야포사격에도 견딜 만큼 견고하게 진지를 구축해 놓고 저항하는 북한군을 공격하는 동안 많은 사상자를 낳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사단은 유엔 해군의 함포지원까지 받아가며 지속적인 공격을 감행하여 북한군을 격멸하였다. 수도사단은 23일 08시경에 공격목표인 924고지를 점령하였으며, 제11사단은 4번에 걸친 뺏고 빼앗기는 격전 끝에 8월 27일 884고지 일대를 완전히 장악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전투로 북한군은 큰 타격을 입고 남강 북쪽으로 후퇴하게 되었으며, 국군은 향로봉 일대의 주요 고지를 모두 확보하게 되었다. 이로써 국군 제1군단은 미 제8군의 계획에 따라 해안분지 공격을 위해 실시한 해안분지 동측 능선에 대한 점령 임무를 완수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향로봉전투 [香爐峰戰鬪]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기석선생 해동청풍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867년
주제 : 한말구국운동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관할지청 : 대구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경상북도 성주(星州)군 벽진(碧珍)면 봉계(鳳溪)리에서 태어났다. 1910년 8월 일제가 한국을 병탄하고 나라가 망하자 성주군수와 경찰서장 등으로부터 일본왕 명치(明治)의 천장절(天長節) 경축식에 참석할 것을 강요받았으나 이를 단호히 거절한 바 일제경찰이 구인(拘引)하려 하자 일제경찰을 목침으로 때려 중상을 입히고 대구형무소에 수감 당하였다. 1911년 1월 옥중에서 단식투쟁을 결행했으며, 손톱과 발톱을 다 뽑히는 잔혹한 고문을 당하면서도 「내 목은 베어도 내 뜻을 꺾을 수 없다」고 호령하다가 1911년 1월 5일 단식 27일 만에 옥중에서 순절하였다. 그 의기에 일제 형리들도 내심 감복하였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충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장승천 전투 전적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1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기도 연천군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중공군의 1차 춘계공세시, 1951년 4월 22 ~ 4월 23일동안 연천군 일대에서 터키군 여단은 장승천 전투라 명명되는 이 전투에서 터키군은 66명의 전사자와 105명의 실종자 및 3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중공군은 1000여 명의 사망과 200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이러한 공을 기리기 위해 이 비를 건립하였다.
장홍염 흉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학생운동
지역 : 전라남도 신안군
관할지청 : 전남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독립운동과 민주화 투쟁에 앞장 선 장홍염(1910~1990) 선생의 애국애족 정신을 재조명하고 후세에 선생의 애국정신을 전하고자 건립하였다. 장홍염 선생은 신안군 장산면에서 태어나 서울휘문고등보통학교에 수학 중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자 시위운동에 참여하였으며 경성의 각 학교 대표들과 회합하여 1930년 1월 15일 9시를 기해 일제히 궐기할 것을 결의하는 등 광주학생만세운동을 전국 규모로 확산하는데 핵심역할을 했다. 일제의 검거를 피해 같은 해 3월 엿장수로 가장하여 중국으로 망명, 신채호, 이회영 선생 등과 깊은 유대를 갖고 무력항일투쟁에 헌신하는 한편 국내에 여러 차례 잠입, 수많은 애국지사를 통하여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였다. 1933년 북격에서 일경에 체포돼 국내로 압송된 후 필설로 형언할 수 없는 고문에도 중국에서의 독립운동과 동지들의 이름을 자백하지 않아 광주학색운동관련 부분만 혐의를 씌워 3년 징역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1년간 복역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뜻을 기려 1993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장암리 독립운동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경상북도 상주시
관할지청 : 대구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상주 장암리에서 일어난 3·1독립운동 기념비. 3·1독립운동이 전국으로 파급되어 가는 가운데 1919년 4월에 들어와 화북면 장암리 이장 이성범은 김재갑, 홍종흠 등 면민들과 의논하여 만세운동 권고문과 태극기를 만들며 만세운동을 준비하였다. 이들은 4월 4일부터 인근 마을 여러 곳에 만세운동의 계획을 알리고 4월 8일에 신일서숙에 모였다. 오후 2시쯤 속리산 문장대를 향하여 행진하며 태극기 2개를 세워놓고 각 마을에서 올라온 70여 명이 합세한 가운데 독립만세를 외쳤다. 만세운동을 주도한 이성범, 김재갑, 이용희 등은 일경에 체포되어 1년 6개월 징역을 언도받고 서대문감옥에서 옥고를 치렀다. 1985년 5월 1일 상수시에서는 장암리 3·1독립운동이 시작된 신일서숙 터에 기념비를 세워 장암리 주민의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해 이 비를 세웠다.
장성군 6·25 참전용사 기념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기타
지역 : 전라남도 장성군
관할지청 : 광주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장성군 6·25 참전유공자
장사상륙작전전승기념관
시설 : 기념관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북도 영덕군
관할지청 : 경북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영덕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은 국내 유일의 바다 위 호국 전시관으로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에 토대를 마련하며 한국 전쟁사에 영원히 남을 전투로 역사속으로 사라질 뻔한 호국영웅들의 희생과 숭고한 뜻을 기리고자 건립되었다. 본 기념관 건립으로 장사상륙작전에서 전사한 전우들의 고귀한 희생정신을 찬양하고 호국충정을 기리며, 후세들에게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심어 주고자 한다.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페이지 이동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