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선택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인천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세종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닫기
닫기
현충시설 소개
현충시설 소개
국내 현충시설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국외 참전시설
국외 참전시설 둘러보기
현충시설 함께하기
나라 사랑 여행 코스
현충시설 활용 우수사례
관리실태 신고
OPEN API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MAP
HOME
TOP
BOTTOM
시설 전체
공원
기념관
기타
동상
비석
사당
사적지
생가
장소
조형물
탑
주제 전체
3·1운동
6·25전쟁
6·25전쟁 및 월남전쟁
기타
문화운동
민족주의운동
사회운동
애국계몽운동
월남전쟁
월남참전
의병운동
의열투쟁
학생운동
한말구국운동
해외운동
지역 전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자체 전체
VR 영상
유
무
안내판
유
무
제목
내용
검색 결과
총 2316건
Excel
전체 개수 : 2316
경찰 전적비(양양군)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46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강원도 양양군
관할지청 : 강원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속초경찰서는 1992년 6월 양양군 현북면 잔교리 4-4에 경찰전적비를 건립하여 북한군의 도발로부터 양양지역을 수호하다 전사한 경찰경비대원 32명의 넋을 기리고 그 숭고한 뜻을 후세에 전하고자 하였다. 이들은 1946년 10월 17일부터 1952년 3월 19일에 이르기까지 서면 서림리, 현북면 대치리, 장리, 잔교리, 면옥치리, 현남면 남애3리 등 전투에서 북한군에 맞서 싸우다가 산화하였다.
경찰 충혼탑(약산면)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전라남도 완도군
관할지청 : 광주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완도경찰서는 1961년 9월 17일 약산중학교 정문 옆에 1950년 9월 14일 벌어진 약산면전투에서 전사한 호국영령 29위(경찰 26위, 지역방위군 3위)의 넋을 기리고 그들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해 충혼탑을 건립하였다. 충혼탑이 노후화되고 그 면모도 부실하여 1986년 11월 23일 완도 군민의 성금과 군비로 기금을 조성하여 당시 격전지였던 약산면 장용리 919-1로 이전 재건립하였다. 약산면전투는 경찰대가 북한군과 맞서 싸운 경찰의 최대 격전의 하나로 꼽힌다. 장흥경찰서부대 70여 명과 지역방위군 30여 명이 완도 약산면에서 해안방어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1950년 9월 14일 약산면 장용리 앞 해상으로 야음을 틈타 침공해 온 북한군 대대병력과 격전 끝에 적 150여 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으나 경찰관 26명과 지역방위군 3명이 전사하였다.
경찰 충혼탑(부여)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95년
주제 : 기타
지역 : 충청남도 부여군
관할지청 : 대전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부여경찰서는 1997년 12월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산2(부여 대간첩작전 전적지 현장)에 무장공비와 교전중 전사한 장진희, 나성주 경사의 넋을 기리고 고귀한 희생정신과 애국애족정신을 후세에 길이 전하고자 충혼탑을 건립하였다. 부여경찰서 장진희, 나성주 경사는 1995년 10월 24일 오후 2시 40분경 부여군 석성면 정각리 뒷산에 무장공비 출현 신고를 받고 긴급 출동하여 오후 4시 10분경 석성면 정각리 소재 4번 국도에서 무장공비를 발견하고 용감하게 추격하여 교전을 벌이다 산화하였다.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시설 : 기념관
사건 연도 : 2007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관할지청 : 경북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은 안동독립운동기념관(2007년 개관)을 확대개편하여 2017.6.30. 개관하였다.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내앞마을에 있으며, 이곳은 동산 유인식(柳寅植)이 한말 교육구국운동을 일으켰던 협동학교 자리이다. 지하1층, 지상1층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로 전시실, 신흥무관학교, 연수원, 대강당, 연수강의실, 자료실, 수장고 등을 갖추고 있다. 전시실은 독립관과 의열관 두 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독립관은 1894년 갑오의병부터 1945년 조국 광복 때까지 51년간 펼쳐진 경북 사람들의 국내외 독립운동이 담겨 있다. 의병항쟁을 시작으로 국채보상운동, 자정순국, 만주지역 항일투쟁, 6·10 만세운동, 의열투쟁, 한국광복군 등 경북 사람들의 쉼 없는 항일투쟁과 관련 유물이 소개되어 있다. 의열관은 안동 독립운동의 뿌리가 된 전통마을의 항일투쟁을 전시하고 있는 안동실과 되살아나는 불씨, 나라 위해 목숨 바친 경북사람들의 51년 독립운동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추강영상실, 유아를 위한 교육과 체험공간인 새싹교육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흥무관학교는 과거 신흥무관학교의 정신과 교육과정?독립전쟁을 최첨단 장비와 시설로 재현하였으며, 독립군의 훈련과정과 전투를 몸으로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 외 편의시설인 쉼터, 식당, 부대시설 등이 있다.
경암 장선생 의열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년
주제 : 문화운동
지역 : 세종특별자치시
관할지청 : 충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일제의 민적조사와 납세정책에 저항하면서 항일투쟁을 전개한 경암 장재학 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자 함
경남 항일독립운동 기념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관할지청 : 경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일제가 우리나라의 국권을 침탈하고 지배하던 한말·일제강점기에 경상남도 출신의 수많은 애국선열들이 목숨을 걸고 일어나 항일 의병전쟁, 1919년 3·1독립운동, 독립군전투, 대한민국임시정부, 학생운동, 농어민운동, 노동운동, 광복군 등에 참여하여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웠다. 그리고 다른 지역 출신이지만, 이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도 적지 않다. 경상남도에서는 이들을 기리기 위하여 2004년 3월 1일 이들 725명의 이름을 새겨 이 탑을 세웠다.
경성부민관 폭탄의거지
시설 : 장소
사건 연도 : 1945년
주제 : 의열투쟁
지역 : 서울특별시 중구
관할지청 : 서울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1945년 7월 24일 경성부민관 폭탄의거 경성부민관은 1935년 12월 태평통 1정목 60번지에 세워진 경성부의 부립극장(府立劇場)으로, 오늘날로 하면 시립극장이다. 경성부민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에 대강당·중강당·소강당·담화실 등을 갖춘 다목적 회관으로서, 당시로는 드물게 냉난방 시설과 조명·음향시설을 갖추어 각종 극단의 공연은 물론 전시총동원체제하 각종 관변 집회의 장소로 널리 이용되었다. 경성부민관 폭탄의거를 주도한 조문기·유만수·우동학·강윤국 등 당시 20세 안팎의 열혈청년들은 1945년 5월 서울 관수동 13번지 유만수의 집에서 대한애국청년당을 결성하고 항일투쟁의 기회를 엿보았다. 1945년 7월 24일 저녁 경성부민관에서 친일파 거두인 대의당의 박춘금(朴春琴) 일당이 주최하는 아세아민족분격대회가 열린다는 보도가 나오자, 조문기 등은 비밀회합을 갖고 대회장을 폭파할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유만수가 수색변전소 공사장 발파 인부로 침투해 빼낸 다이너마이트로 사제폭탄 두 개를 만들어 대회 전날 밤 대회장 뒤편 화장실 쪽에 설치하였다. 폭탄은 대회 당일인 7월 24일 밤 9시경 박춘금이 시국강연을 위해 등단하고 얼마 뒤에 터졌고, 그것으로 대회는 중단되고 말았다. 경성부민관 폭탄의거는 해방을 한 달도 채 남겨두지 않은 시기에 꺾일 줄 모르는 민족의 독립의지를 안팎에 떨친 사건이었다.
경찰 전적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강원도 평창군
관할지청 : 강원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평창군 병내리에 6·25전쟁 전후 북한이 남파한 무장공비를 토벌하다가 산화한 순국경찰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경찰 전적비’를 건립하였다. 평창경찰서는 순국경찰 전우의 숭고한 애국충정과 희생정신을 후대에 널리 계승시키며 나아가 그들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1992년 1월 1일 이 비를 세웠다. 평창경찰은 6·25전쟁 이전인 1949년 7월부터 전쟁 중에도 계속된 북한이 남파한 무장공비를 토벌하기 위해 도암면 용산리, 진부면 봉산리, 대화면 신리, 태기산, 오대산 등의 전투에서 무장공비 50여 명을 사살하고 12명을 생포했으며 무기 100여 정을 노획하는 전공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정운봉, 이병남, 김용연 등 9명이 호국의 신으로 산화했고 김수복 등 4명이 부상을 당했다.
경주 김공동헌 위적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관할지청 : 경북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950년 3월 포항경찰서 죽장지서장 주임으로 부임한 경위 김동헌은 면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불철주야 공비토벌에 동분서주 하다가 6.25전쟁 중 애국청년 수백명을 구출한 공적으로 1960년 면민의 이름으로 건립하였고 1985년 재건립하여 현재 모습의 시설이 되었습니다.
경찰기념공원
시설 : 장소
사건 연도 : 년
주제 : 기타
지역 : 서울특별시 중구
관할지청 : 서울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전사ㆍ순직경찰관들의 고귀한 희생을 널리 알리고 호국경찰에 대한 사회적 존중 의식을 함양시키기 위해 1945년 경찰 창설 이후부터 현재까지 전사ㆍ순직한 全 경찰관을 기리는 경찰기념공원을 조성
1
2
3
4
5
6
7
8
9
10
페이지 이동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