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가보훈부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검색 결과총 2316건

Excel전체 개수 : 2316

  • LST 문산호 전사자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부산광역시 영도구
    관할지청 : 부산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6‧25전쟁 당시 조국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친 11명의 문산호 선장 및 선원들의 공헌과 희생정신을 기림
  • U.D.T 충혼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69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관할지청 : 경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경남 진해시 속천동 대죽도 정상에 훈련중 순직한 김상익 하사와 김인권 일병에 대해 추모하기 위해 U.D.T.전우회에서 1996년 6월 25일 탑을 건립했다. 1969년 6월 UDT 훈련중 순직자(하사 김상익, 일병 김인권)에 대한 추모비를 진해시 속천항 앞 대죽도 8부능선에 추모비를 설치하고 참배하여 오던 중 속출되는 순직 및 전사자(전사자 8명, 순직자 32명)로 같은 곳에 비를 설치하였으나 국립묘지로 이장하였다. 그러나 그 애도의 비는 그대로 남아있고 매년 영·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예비역과 현역 및 유족들이 원거리 관계로 국군묘지는 참배하지 못하고 이곳 대죽도에 참배하여 오던 중 전국 UDT 전 회원의 마음과 뜻을 모아 종전의 애도의 비는 모두 철거하고 1996년 6월 23일 기존에 있던 비로부터 약 10m 정상에 충혼탑을 건립하였다.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귀한 생명으로 조국을 지켜야 했던 임들의 거룩한 정신이 못다 한 애국충정으로 당신의 구슬픈 함성이 메아리되어 우리들 가슴속에 영원히, 영원히 살아 숨쉬리....
  • 故 해군준위 이창기 흉상 추모비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2010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기도 양평군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故이창기 준위는 1970년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에서 태어나 1990년 10월 해군부사관126기 전탐하사로 임관하여 2009년 2월 천안함에 부임후, 2010년 3월 천안함 피격으로 전사하였다. 천안함에서 장렬히 산화한 뒤 화랑무공훈장에 추서되었고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 故이창기 준위의 숭고한 뜻과 국가수호의 공적을 기리고자 이 흉상을 건립하였다.
  • 故 정옥성 경감 흉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기타
    지역 : 인천광역시 강화군
    관할지청 : 인천보훈지청
    시설내용 :  13.3.1. 23:10경 강화서 내가파출소 당직근무 중 자살기도자 관련 112신고를 접하고 119휴대폰 위치추적 결과 내가면 외포리 선착장 인근에 있는 것으로 확인 주변 수색, 자살기도자를 발견하고 설득하던중 자살기도자가 순간적으로 바닷물로 뛰어드는 것을 뒤쫒아 구조하는 과정에서 바닷물에 휩쓸려 순직
  • 故 김범수 대위 추모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2004년
    주제 : 기타
    지역 : 전라북도 임실군
    관할지청 : 전북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故 김범수 대위의 숭고한 살신성인 정신을 추모 2002년 학군장교 40기로 임관한 김범수대위는 35사단 신병교육대대 소대장으로 임무수행 중 2004년 2월 18일 사단 신병교육대대 수류탄 투척훈련 과정에서 훈련병이 당황해 수류탄을 던지지 못하자 자신의 몸으로 수류탄을 감싸 안아 훈련 중이던 269명의 동료들을 구하고 순직했다
  • 故최규식경무관동상(경찰학교)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1968년
    주제 : 기타
    지역 : 충청남도 아산시
    관할지청 : 충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북한 무장 공비 김신조 등 31명의 청와대 습격 당시 종로경찰서장으로 기습공격 저지중 총탄 막고 순직
  • 故 홍시욱 하사 동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관할지청 : 경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948년 6월 1일 해군의 신병 10기로 입대하여 근무하던 중 6·25전쟁이 발발하자 해군본부의 정보국 특수공작대의 2조(하사)로서 특수공작대원들과 함께 경인지방의 북한군 병력 배치 상황과 규모, 병력 배치에 따른 보급 관계, 지뢰 매설상황, 상륙지점의 지형, 암벽의 높이 등을 수집하는 특수공작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1950년 8월 22일 영흥도에 상륙 잠입하였다. 당시 영흥도에 있던 해군 의용대와 해군 정보국 소속의 부대원은 중대장 임병래 중위의 지휘 아래 북한군 1개 대대와 치열한 공방전을 전개하였으나 중과부적으로 적에게 포위되어 위기에 처하였으며, 최후에는 임 중위를 비롯한 군인 군속 10여 명이 남게 되었고, 이들은 모두 전사하였다. 이 때 홍시욱 이등병조는 임 중위와 함께 적에게 체포되어 특수공작임무의 기밀을 누설치 않으려고 ‘대한민국만세’를 부른 뒤 자결하였다.
  • 故 중위 강현경 추모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71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보병 제30사단 제91전투단 소대장으로 1971년 8월 27일 문산지역에 침투한 무장공비 4명 중 3명을 사살하고 임진강 하구에 위치한 거북고지 인근에서 잔비추격작전을 전개하다가 소대원 故병장 차성희와 함께 전투현장에서 전사하였다. 이렇듯 나라를 위하여 희생한 故육군중위 강현경을 추모하고자 이 비를 건립하였다.
  • 故 문광욱 일병 추모 흉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기타
    지역 : 전라북도 군산시
    관할지청 : 전북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고 문광욱 일병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널리 기억하고 시민들의 호국정신 함양 고취
  • 故 이기태 경감 흉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상북도 경주시
    관할지청 : 경북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2015년 10월 21일 11:30경 경찰 창설70주년을 맞은 경찰의 날에 울산시 북구 신천동 동해남부선 철로에 누워 있던 장애인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열차가 달려오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자신의 안위는 돌보지 않은채 마지막 순간까지 구조의 손을 놓지 않고 화물열차와 충돌하여 순직한 故 이기태 경감을 기리기 위하여 건립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