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가보훈부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검색 결과총 2313건

Excel전체 개수 : 2313

  •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 회관 터

    시설 : 사적지
    사건 연도 : 1929년
    주제 : 학생운동
    지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할지청 : 서울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일제시대에 애국계몽운동을 펼친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 회관이 있던 곳
  • 조광성 중사 추모비 및 흉상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94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994년 8월 22일 수류탄 훈련 중 한 훈련병이 실수로 떨어트린 수류탄을 처리하던 중 순직한 故 조광성 중위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군인정신을 기리어 백마 하사관의 지표로 삼기 위함
  • 조선소년총연맹회관 터

    시설 :
    사건 연도 : 1928년
    주제 : 사회운동
    지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할지청 : 서울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920년말 소년운동을 이끌어갈 조선소년총연맹 회관이 있던 곳이다. 소년운동 통합 조직인 조선소년연합회는 1928년 사회주의 계열로 운동의 주도권이 넘어가자 조선소년총연맹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조선소년총연맹은 어린이의 지위를 향상하고 자립의식을 일깨워 민족운동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창립 후 전국 각지로 조직을 확대하여 소년운동의 활성을 꾀했으나 좌우파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다가 일제가 침략전쟁을 도발하면서 강제 해산 당하였다.
  • 조소앙 선생 기념관

    시설 : 기념관
    사건 연도 : 년
    주제 : 민족주의운동
    지역 : 경기도 양주시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유년시절을 양주에서 보낸 조소앙 선생의 생애를 재조명 하고, 고귀한 독립운동정신을 기리며 대외적으로 널리 알려 후손들에게 애국정신 함양과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함
  • 조선일보/조선중앙일보 옛 사옥

    시설 : 장소
    사건 연도 : 1931년
    주제 : 문화운동
    지역 :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할지청 : 서울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조선중앙일보는 몽양 여운형이 사장에 취임한 후 1936년 8월 13일자 신문에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인 손기정 선수 사진을 실으면서 일장기를 지운 사건으로 1937년 폐간됨
  • 조병옥박사 생가

    시설 : 생가
    사건 연도 : 1894년
    주제 : 문화운동
    지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관할지청 : 충남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조병옥 박사 생가는 조병옥 박사가 태어난 곳이다. 그는 1894년 3월 21일 천안시 병천면 용두리에서 태어났으며 서울에서 배재학당을 거쳐 평양숭실전문학교를 나와 미국 콜롬비아대학 졸업 후 귀국 1927년 신간회 조직에 참여하여 광범한 항일 민족전선을 형성하는 운동에 나섰으며, 1929년 광주학생운동 배후조정혐의로 3년간 옥고를 겪었다. 정부 수립후 1951년 내무부 장관을 지내고 1960년에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 유세 중 신병으로 미국에서 사망,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단장을 추서하였다. 이곳에 1995년 4월 20일 생가를 복원하였다. 조병옥 박사의 부친(조인원)은 아우내만세운동 당시 유관순 열사와 함께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 존 비 코올터 장군상

    시설 : 동상
    사건 연도 : 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서울특별시 광진구
    관할지청 : 서울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6.25전쟁에서 위기일발의 포항전투에서 미 제8군 부사령관으로 북한의 침입을 막아내고 전쟁이 끝난 후 초토화된 우리나라의 재건에 힘쓴 공로로 1959년 10월 이태원에 동상을 건립했다. 이후 1977년 어린이대공원(후문에서 아차산역 방면 위치)으로 이전하였다.
  • 좌천시장 3.1만세운동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부산광역시 기장군
    관할지청 : 부산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1919.4.9. 좌천 장날을 기해 3.1만세운동을 일으킨 것을 기념하고자 좌천시장 자리에 건립
  • 주산3·1운동만세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관할지청 : 충남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주산 3·1운동 만세 기념비는 2001년 3월 1일 보령시 주산면 면사무소 광장에 주산 3·1운동에 참여한 보령 출신 애국지사들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다. 1919년 3월 16일 밤을 기하여 우리 고장 출신 18의사가 주렴산 국수봉에 올라 태극기를 꽂고, 봉화를 올리며 징을 치고, 독립 선언문에 혈서하여 낭독한 다음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면서 일제 식민통치에 항거했던 만세운동이 주렴산기미만세운동이다. 주렴산에서 시작된 만세운동은 웅천 방면으로 진출을 시도했지만 출동한 왜경에 의하여 저지되었고, 주모자급은 거의 체포되어 태형과 옥고를 치르고 온갖 수모를 당했다.
  • 주렴산기미독립운동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충청남도 보령시
    관할지청 : 충남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주렴산기미독립만세운동선양사업추진위원회는 1997년 4월 보령시 주산면 증산리 산65-1에 주렴산 3·1독립운동을 주도한 18의사와 이에 참여한 애국선열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서울 배재고등보통학교에 재학중이던 이철원은 학생 전위대원으로 시위 하다가 왜경의 감시를 피해 고향으로 내려와 유림 선배들을 규합하여 3.15일 간재 장날에 만세운동을 계획하였으나 사전누설로 왜경의 감시가 삼엄하자 뜻을 이루지 못하고, 다음날 저녁에 거사를 실행에 옮기게 되었다. 주렴산에서 시작된 만세운동은 웅천 방면으로 진출을 시도했지만 출동한 왜경에 저지되었고, 주모자급은 거의 체포되어 태형과 옥고를 치렀다. 독립운동을 주동한 18의사는 이철원, 박윤화, 임문호, 박태현, 김양제, 이철규, 이장규, 이성규, 이성수, 이관규, 윤기호, 이홍규, 이항규, 윤용원, 최봉규, 박성하, 윤천영, 신도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