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선택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강원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인천
대전
광주
대구
울산
부산
세종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닫기
닫기
현충시설 소개
현충시설 소개
국내 현충시설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국외 참전시설
국외 참전시설 둘러보기
현충시설 함께하기
현충시설 활용 우수사례
관리실태 신고
사이버 추모관
OPEN API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전체 현충시설
독립운동 현충시설
국가수호 현충시설
MAP
HOME
TOP
BOTTOM
시설 전체
공원
기념관
기타
동상
비석
사당
사적지
생가
장소
조형물
탑
주제 전체
3·1운동
6·25전쟁
6·25전쟁 및 월남전쟁
기타
문화운동
민족주의운동
사회운동
애국계몽운동
월남전쟁
월남참전
의병운동
의열투쟁
학생운동
한말구국운동
해외운동
지역 전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지자체 전체
VR 영상
유
무
안내판
유
무
제목
내용
검색 결과
총 2295건
Excel
전체 개수 : 2295
가평의병 3.1항일운동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경기도 가평군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895년 10월 명성황후시해 사건과 그 해말 단발령에 항거하여 가평에서는 북면을 근거지로 의병이 봉기하였다. 가평 지역의 의병들은 강원도 의병들과 연합하여 격렬히 전투하다가 이충응(李忠應, 1856~1896), 신재가(申在嘉, 1850~1895), 정문위(鄭文緯, 1851~1896) 등이 의병장으로 참여하여 순국하였다. 1905년 11월 을사늑약에 항거하여 일어난 중기의병과 1907년 고종강제퇴위와 군대해산에 항거하여 일어난 후기의병에도 강귀손(姜貴孫, 미상 ~1909), 강윤희(姜允熙, 1868~1909), 김석하(金錫夏, 미상~1908), 김춘쇠(金春釗, 미상~1908), 나봉산(羅奉山, 1860~1910), 박내병(朴來秉, 미상~1908), 박내봉(朴來鳳, 미상~1908), 하상태(河相泰, 1868~1909), 홍난우(洪鸞祐, 미상~1908) 등이 참가하여 순국하였다. 3·1독립운동이 한창 전국으로 확산되어 가던 1919년 3월 15, 16일 이윤석(李胤錫, 1894~ 1953)·정흥교(鄭興敎, 1900~1965) 등의 주도로 군북면사무소 앞에서 수백명이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외치는 시위가 시작되어 가평읍 군청앞으로 행진하여 이를 진압하려는 군경과 대치하였다. 이 시위로 체포된 사람이 70여명이었으며, 이 가운데 28명이 재판을 받고 옥고를 치르거나 태형에 처해졌다. 남양주시에서는 이들을 기리기 위해서 1994년 3월 15일 이 비를 세웠다.
가평학도 의용대 참전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1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기도 가평군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가평6·25참전동지회는 2001년 11월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321-1 (가평공설운동장내)에 6·25 당시 북한군의 무력 침공을 막고자 애국학생들이 자진해 무기를 들고 전투에 참전한 전몰자와 참전학도병을 추모하고 그들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기 위하여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기념비의 뒷면에는 전사자와 작고한 동지들의 명단이, 기념비 오른쪽에는 '학우여! 전우여! 고이 잠드소서'라고 새겨진 추모비가 함께 세워져 있다.
가래비 3.1운동 순국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19년
주제 : 3·1운동
지역 : 경기도 양주시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이 기념비는 가래비 3·1독립운동 순국선열 백남식, 이용화, 김진성과 양주 출신 참여자들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2007년 10월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 732-4에 건립한 비이다. 1919년 3월 초 3·1운동 소식이 전해지자, 백남식(2010, 애국장)은 김진성, 이용화와 함께 만세시위를 추진하였다. 3월 28일 백남식 등은 효촌리 주민들을 규합하여 태극기를 휘날리며 만세를 고창하면서 가납리로 향하였다. 이들이 가납리에 도착했을 때, 미리 모여서 만세를 부르던 광적면과 백석면 주민들은 시위를 마치고 해산하려다가 다시 모였다. 시위대는 오후 4시경 논 가운데 모여 시위를 재개하였다. 이때 의정부에서 급파된 일본 헌병 5명과 헌병보조원, 광적면장이 도착하였다. 헌병이 군중의 해산을 명령하자, 이용화가 이들을 크게 꾸짖었고 군중들이 이들을 향해 돌팔매를 시작하자, 일본 헌병들은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였다. 이때 시위대 선두에 있던 백남식, 김진성, 이용화 3인은 현장에서 순국하였고 시위대원 가운데 40여 명이 부상을 입었다.
가람문학관
시설 : 기념관
사건 연도 : 년
주제 : 애국계몽운동
지역 : 전라북도 익산시
관할지청 : 전북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920년대 전반에 걸쳐 시조의 발전과 민족문학의 부흥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1931년 조선어학회 활동으로 1600명의 지도층 청년들에게 한글 강습과 민족의식을 고취함 1942년 10월 일제가 한민족 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 말살정책을 대폭 강화하고 한글 연구자들을 탄압하기 위하여 만들어낸 조선어학회사건으로 구속되어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와 함흥경찰서에서 1년간 잔혹한 고문과 악형으로 옥고를 겪었음
가평지구 전투 전적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1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기도 가평군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에 육군 제1군단이 가평지구의 전투 전적을 기념하기 위해 1958년 3월 15일에 기념비를 세웠다. 1951년 4월에 감행된 중공군의 제1차 춘계 공세 때 사창리 지역에서 국군 제6사단의 전선이 돌파되어 이 지역으로 침공한 중공군 제20, 39, 40군이 가평 방면으로 돌파구를 확대하자 6사단은 가평 북한강을 배수진으로 일대 반격작전을 준비중에 있을 때 중공군은 4월 25일 새벽 3시 가평과 청평간의 주보급로를 차단할 기도로 야간을 이용 공격을 감행하였다. 이때 2개 연대(제7, 제17)는 진지를 고수하고 치열한 격전을 전개하여, 적에게 많은 피해를 가하자 오전 7시 30분부터 퇴각하기 시작했다. 좋은 기회를 포착한 2개 연대는 추격을 실시 가평 서북쪽 7킬로미터까지 진격하여 성공적인 작전을 수행함으로써 그 일대 진지를 편성하였다. 이 전투는 아군의 전세를 유리하게 전개하는데 기여한 전투로 전적비는 봉미산(일명 늪산) 정상에 위치해 있으며 정상에 오르면 북한강과 남이섬, 가평읍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6·25전쟁 당시 중공군 및 북한군을 맞아 국군 제5사단, 제6사단 및 미9군단과 함께 격렬하게 공방이 치뤄진 전투로 이 지구를 끝까지 사수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전적비를 건립하였다.
가평군 현충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기도 가평군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가평군은 1972년 6월 6일 가평군청 옆에 가평군 출신 6·25참전용사의 숭고한 애국애족정신을 기리기 위해 현충탑을 건립하였다. 그 후 가평군이 확장됨에 따라 탑의 이전 필요성이 제기되어 1977년 12월 15일 가평읍 달전리 산39에 재건축 준공하였다.
갑종장교 호국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2004년
주제 : 기타
지역 : 전라남도 장성군
관할지청 : 광주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갑종장교단중앙회는 2004년 10월 장성군 삼서면 학성리 75-15 육군보병학교 교정에 갑종장교 출신으로 6·25전쟁 및 베트남전, 대간첩작전 중 전사한 5, 341명의 호국영령을 추모하고 이들의 투철한 국가관과 안보의식을 후배 장교들에게 심어주기 위해 호국탑을 건립하였다. 갑종간부후보생 과정은 1950년 1월 육군보병학교에 신설돼 그해 363명이 갑종 1기로 임관한 것을 시작으로 1969년 8월 30일까지 230기 45, 424명의 장교가 배출됐다. 갑종장교들은 6·25전쟁과 베트남전, 국내 대간첩작전 등 수많은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워 태극무공훈장 3명을 비롯해 5천여 명이 각종 무공훈장을 받았다.
강릉지역 대침투작전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96년
주제 : 기타
지역 : 경기도 이천시
관할지청 : 경기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1. 전적비 : 1996년 9월 18일 01:17경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안인진리 대포동 앞바다 50m 해상에서 북괴 잠수함이 좌초된 채 발견되어 시작된 강릉 대침투 작전시 여단은 '96. 9. 18. ~ 11.5.까지 49일간 작전에 참가하여 무장공비 25명 중 8명을 사살함으로써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상하였음.(작전 참가 지휘관 현황, 훈·표창 수상자 현황, 대통령 부대 표창장) 2. 전사자 동상(故 상사 이병희): 이 동상은 조국을 지키기 위해 적과 싸우다 목숨을 바친 한 특전인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고인은 1996년 9월 18일 강릉대침투 작전에 투입되어 9월 19일 3명의 공비를 사살하고 계속적인 수색작전 중 9월 21일 강원도 강릉시에 위치한 칠성산에서 은거중인 적으로부터 선제 기습을 받아 두부에 총상을 입고 쓰러지면서도 적을 향하여 대응 사격을 가하는 불굴의 특전혼을 간직한 채 당일 14시 05분에 장렬히 전사함.
강릉중앙고등학교 6.25참전 국가유공자 명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강원도 강릉시
관할지청 : 강원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이 명비는 1950년 6.25전쟁 당시 국가수호를 위해 개인의 안위를 뒤로 하고 소중한 생명과 젊음을 바치신 강릉중앙고등학교 출신 6.25참전 학도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기리고 후배 학생들이 본받아야 할 표상으로 삼고자 그분들의 이름을 새기어 건립하였다.
강릉제일고등학교 6.25참전 국가유공자 명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강원도 강릉시
관할지청 : 강원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이 명비는 1950년 6.25전쟁 당시 국가수호를 위해 개인의 안위를 뒤로 하고 소중한 생명과 젊음을 바치신 강릉제일고등학교 출신 6.25참전 학도병의 숭고한 호국정신과 애국심을 기리고 후배 학생들이 본받아야 할 표상으로 삼고자 그분들의 이름을 새기어 건립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페이지 이동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