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가보훈부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검색 결과총 2316건

Excel전체 개수 : 2316

  • 643고지 전투 전적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1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강원도 화천군
    관할지청 : 강원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육군 제2군단은 1957년 3월 화천군 화천읍 대이리 산8에 6·25전쟁사에서 주요 승전의 하나로 꼽히는 643고지전투의 위훈을 전하고 이 전투에서 산화한 장병들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643고지 전투 전적비를 건립하였다. 643고지는 1951년 6월 국군 제6사단과 미 제17연대가 중공군 3개 사단의 공격에 맞서 치열한 백병전 끝에 최후까지 사수한 격전지다. 이 고지는 화천의 크고 작은 능선에서의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는 전략상 요충지여서 국군·미군과 중공군 간에 총력전을 펼쳤다. 국군 제6사단 예하 7연대가 6월 6일 643고지에 깃발을 꽂아 아군의 승리로 끝났다. 643고지 전투에서 아군은 적군 21, 550명 사살, 2617명 생포, 야포 86문·기관총·소총 2695점 노획 등의 눈부신 전과를 올렸다.
  • 6·25 반공 유적비(고성군)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남도 고성군
    관할지청 : 경남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고성군 남산공원에 6·25전쟁에서 향토를 방위하기 위해 하나뿐인 목숨을 바친 고성군 출신 반공청년단원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6·25 반공유적비’를 건립하였다. 6·25반공애국부활 고성군 추진위원회는 이곳 출신 박남두, 정찬홍, 최상호 등 9명의 숭고한 애국심과 애향심을 후대에 널리 계승시키며 나아가 후세의 안보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1961년 9월 5일 이 비를 준공하였다. 6·25전쟁 기간 고성 군민은 조국과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북한군에 맞서 반공청년단을 조직하여 향토방위에 앞장섰다. 또한 많은 젊은이들이 1950년 6월 25일 남침 이후 3년간의 전쟁 동안 아군의 후퇴 및 방어, 반격 및 북진, 38선 인근의 고지쟁탈전, 빨치산 토벌작전 등에서 조국을 지키다 전사 또는 부상을 당하였다.
  • 6·25 참전용사 기념비(달성군)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대구광역시 달성군
    관할지청 : 대구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6·25전쟁 당시 조국수호의 교두보였던 대구 팔공산 지역과 낙동강변에서의 격렬했던 전투 속에 산화한 달성군 출신 참전용사들의 넋을 기리고 생존 참전유공자들의 공적을 기리어 후세에 교훈으로 삼고자 한국전쟁참전자회 달성군지회가 1995년 3월 달성군 논공읍 남리 137-16(달성공단 입구)에 참전용사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 6·25 참전 기념비(동량면)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관할지청 : 충북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동량면 6·25참전기념비 건립추진위원회는 1994년 6월 25일에 조국의 자유와 민족을 지키기 위하여 고귀한 생명을 보국의 초석으로 살신성인한 62명의 전사자의 충혼을 위령하고 119명의 6·25 참전용사의 용감무쌍한 충렬정신을 영원히 기리기 위하여 충주시 동량면 조동리 1306-1(조동근린공원 내)에 참전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기념비에는 동량면 출신 6·25전쟁 전사자 62위 및 참전유공자 119명의 이름이 명각되어 있다.
  • 6·25 한국전 참전 및 국군 제3연대 창설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전라북도 전주시
    관할지청 : 전북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창군 초창기 조국을 수호하기 위해 창군의 웅지를 품은 애국청년들이 자원입대하여 국군의 모체인 국방경비대 제3연대(보병제3연대)가 전북지역에 창설(1946. 2. 26.)되고 1948년 정부수립 후 국군 제3연대로 개편되어 국군의 초석을 이루게 한 창군용사들의 고귀한 뜻을 기리며, 6.25전쟁 발발 후 국군의 일원으로 참전하여 각 전선에서 혁혁한 무공을 세우고 산화하신 호국영령들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하였다.
  • 6.25반공산악대원 전적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기도 가평군
    관할지청 : 경기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6.25전쟁 당시 가평지역에서 80여명의 청년들이 군번없이 반공투쟁산악공작대를 조직, 북한군을 상대로 싸운 전적과 자유수호정신을 후손에 전하고자 함
  • 6·25참전유공자기념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전라북도 순창군
    관할지청 : 전북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6·25전쟁으로 인한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고 6·25전쟁사를 재조명하여 군민에게 국가관, 민족관, 애국심을 고취하기 이하여 건립
  • 6·25, 베트남(월남) 참전기념비

    시설 : 탑
    사건 연도 : 년
    주제 : 6·25전쟁 및 월남전쟁
    지역 : 경상남도 거창군
    관할지청 : 경남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6.25참전 750명, 월남전참전 146명, 국가유공(상이, 전사)자 193명, 참전경찰유공자 78명 등 총 1,167명의 6.25 및 월남전참전용사들의 불굴의 충성심을 받들고, 후손에게 국가관과 민족관을 정립시키고자 건립하여 기념하고자 함
  • 6·25전쟁 철의삼각지대전투 전몰장병추모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강원도 철원군
    관할지청 : 강원서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6.25한국전쟁 당시 조국수호와 세계 평화를 위해 참전한 대한민국의 참전용사와 유엔군 참전용사의 숭고한 희생을 추모하고 유훈을 되새겨 후세에 영원토록 기리고자 함.
  • 6.25 참전 호국영웅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부산광역시 수영구
    관할지청 : 부산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6.25전쟁 참전유공자의 조국을 위한 희생을 기리고 조국통일을 염원하는 마음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건립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