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가보훈부

전체 현충시설

홈   >   국내 현충시설   >    전체 현충시설

검색 결과총 2316건

Excel전체 개수 : 2316

  • 6·25 및 월남참전기념탑(평창)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및 월남전쟁
    지역 : 강원도 평창군
    관할지청 : 강원동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6·25참전유공자 및 월남참전유공자들의 숭고한 애국․평화정신을 기리고, 후손들에게 국가안보의식과 나라발전의 표상이 되도록 하기 위해 세움
  • 6·25 참전용사 기념비(학산면)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충청북도 영동군
    관할지청 : 충북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학산면 6·25참전유공자회는 2005년 8월 영동군 학산면 서산리 927-1 (학산게이트볼 구장 옆)에 학산면 출신 6·25참전유공자 165명의 숭고한 정신을 기리고 후세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 6·25 참전 유공자 기념비(추풍령면)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충청북도 영동군
    관할지청 : 충북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추풍령면 6·25참전유공자회는 2005년 11월 영동군 추풍령면 사부리 461-2에 추풍령면 출신 6·25참전유공자 58명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고 후세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유공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후에 2017년 11월 접근성이 좋은 도계공원 내(추풍령리 203-5)로 이전하여 지역민들의 나라사랑정신 함양과 국가유공자의 자긍심에 크게 기여하였다.
  • 6·25 참전 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관할지청 : 경기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수원고등학교 교정 내에 6·25전쟁 기간에 순직한 학우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해 ‘학도병 6·25 참전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수원고등학교 총동창회는 순직한 학우들의 숭고한 애국심을 후대에 널리 계승시키며 나아가 그들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이 탑의 건립을 추진하였고, 1998년 6월 25일 준공하였다. 6·25전쟁 기간 수원고등학교 학생들은 조국과 고향을 지키기 위해 북한군의 침략에 맨주먹으로 맞섰으며, 많은 학생들이 1950년 6월 25일 남침 이후 3년간의 전쟁 동안 아군의 후퇴 및 방어, 반격 및 북진, 38선 인근의 고지쟁탈전, 빨치산 토벌작전 등에서 조국을 지키다 전사 또는 부상을 당하였다. 수원고등학교에서는 매년 현충일에 이들의 추모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 6·25 참전용사 선양비(예천읍)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북도 예천군
    관할지청 : 경북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예천군은 2001년 8월 예천군 예천읍 서본 240(예천문화회관 내)에 예천군 출신 6·25참전유공자 1, 462명(상이군경 115, 전사자 497, 무공수훈자 53, 참전용사 797)의 공적을 선양하기 위해 선양비를 세우고 그 비에 이름을 각인하였다.
  • 6·25 참전 유공자 기념탑

    시설 : 탑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북도 영양군
    관할지청 : 경북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영양군6·25참전유공자기념탑건립추진위원회는 2004년 6월 영양군 영양읍 서부리 147-1(영양군민회관 입구)에 영양군 출신 6·25참전유공자 1, 508명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고 후세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유공자 기념탑을 건립하였다. 기념탑에는 6·25참전유공자 1, 508명의 이름과 추모의 글을 새겨넣었다.
  • 6·25 참전 유공자비(고령군)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경상북도 고령군
    관할지청 : 대구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6·25참전유공자회 고령군지회는 2004년 8월 고령군 고령읍 지산1리 192(고령국악당마당 앞)에 고령 출신 참전유공자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기리고 후세들에게 애국심을 고취시키는 산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유공자비를 건립하였다. 2004년 건립 때 6·25 무공수훈자, 참전유공자, 참전경찰, 참전민간의용대를 포괄하여 700명의 이름을 명각했는데, 2007년 62명의 참전유공자를 추가 발굴하여 유공비 옆에 와비를 세워 그 이름을 새겨넣었다.
  • 6·25 참전 유공자비(중앙탑면)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충청북도 충주시
    관할지청 : 충북북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6·25참전유공자회 충주시지회 중앙탑면분회에서는 ‘6·25참전유공자비건립위원회’를 결성하고, 중앙탑면 출신 참전유공자 64명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참전 유공자 등 지역의 뜻있는 분들의 성금과 충주시의 지원을 받아 2005년 9월 유공자비를 건립하였다.
  • 6.25참전유공자기념비(대전시 가양동)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대전광역시 동구
    관할지청 : 대전지방보훈청
    시설내용 :  대전광역시 가양1동 주민자치위원회는 2003년 6월 정전 50주년을 맞이하여 조국의 자유수호를 위해 목숨을 바쳐 전쟁에 참여한 가양동 출신 참전용사의 숭고하고 고귀한 뜻을 기리고 주민들의 애국심 함양을 위한 시설물로 활용하기 위해 주민들의 성금을 모아 대전 동구 가양1동 347-2번지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이 기념비는 높이 3.5m 규격의 화강석 재질로 3단의 좌대와 상징물, 그리고 기념비문이 있으며 대전 가양동 거주 참전유공자 108명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6.25전쟁참전기념비

    시설 : 비석
    사건 연도 : 1950년
    주제 : 6·25전쟁
    지역 : 서울특별시 서초구
    관할지청 : 서울남부보훈지청
    시설내용 :  서울고등학교 총동창회는 2010년 10월에 6·25전쟁 때 자유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학도병으로 참전한 서울고 동문들의 명예를 선양함으로써 후세들에게 애국심을 고취하고자 서울고등학교 교정에 참전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참전 기념비는 5개의 오석으로 된 비석이 배치되어 있고, 서울고 마크를 새긴 원형의 화강암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후면의 주 비석에는 이명박 대통령의 친필 휘호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새겼고, 주 비석 좌우에 한 쌍씩 서 있는 4개의 비석에는 서울고 동문 참전자 453명의 이름을 기수별로 새겨 넣었다